사례
링크드인 창업자 리드 호프만은 제품과 시장의 궁합에 대해서 관심이 높았다. 그의 저서 <블리츠 스케일링>에서는 리드 호프만이 바라본 링크드인, 아마존,구글,페이스북의 사례를 간략히 소개한다.
링크드인
기업 제품과 시장의 궁합을 찾는 것은 이 사업의 핵심 변곡점이었다. 이 일을 어떻게 해냈을까? 우리는 가능한 빨리 시장의 피드백을 얻는 데 집중했다. 우리는 영업사원을 고용해 기업 상품의 모형을 주었고, 그들은 잠재 고객을 방문했다. 다행히 잠재 고객들 모두가 그 상품을 원했다.
아마존
아마존은 핵심 사업에서 제푸모가 시장 궁합을 찾는 데 거의 문제를 겪지 않았다. 기존의 소매시장을 활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즉각적인 초고속 성장이 가능했다. 물론 아마존도 핵심 사업 외에는 많은 부문에서 실패를 맛보았다. 이베이나 페이팔의 경매나 결제 사업을 인수하지 못했고, 애플과 안드로이드와 겨루기 위해 내놓은 파이어폰(Fire Phone)은 없어졌다.
구글
구글은 검색과 애드워즈에서 궁합을 찾았다. 처음부터 구글의 검색 결과는 다른 경쟁업체보다 나았다. 하지만 적절한 시장에 맞는 적절한 제품을 찾는 것보은 오랜 시간이 걸렸다. 우선 구굴은 회사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에 인덱스를 다는 도구를 기업에 판매했다. 이후 그 콘텐츠 안에 있는 항목을 찾는 구글 검색창을 내놓았다. 다음으로 더블클릭 광고 모델을 인수했다.
하지만 구글 역시 많은 실패를 했다. 버즈.웨이즈.글래스와 같은 프로젝트들이 그랬다. 이런 실패를 하는동안 구글은 손해를 보는 사업을 단호하게 접었다. 유튜브를 인수하고 그간 투자를 많이 하던 구글 비디오 서비스는 포기한것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어찌 되었든 구글은 제품과 사장의 궁합을 찾았다.
페이스북
페이스북은 핵심 소비자 경험(하버드대학교 학생들)에서 거의 즉각적으로 제품과 시장 궁합을 찾았다. 그 덕분에 급속한 성장을 했다. 그렇지만 페이스북이 훌륭한 기업이 되고 저커버그가 대단한 CEO가 된것은 그 이후에도 부가적인 영역에서 계속 제품과 시장의 궁합을 달성했기 때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페이스북이 모바일로 전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는지 잊었다. 하지만 페이스북 초기 모바일 제품은 느린 경험을 제공했다. 그러나 저커버그는 시장이 모바일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고 팀 전체가 모바일에 집중하도록 기존 신기능 개발을 중단했다. 동시에 그는 민첩하고 단호하게 인스타그램과 왓츠앱을 인수하는 데 집중했고 그 결과는 우리가 이미 알고 있다.
sicasoshin@gmail.com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11 한화드림플러스 3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