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시대에 경력관리
플랫폼 시대에 국내 대기업은 이제 한계를 맞이했다. 이전처럼 기술혁신을 주도하고 인재들이 모이는 장소가 아니다. 거대한
전환이 진행중인 플랫폼 시대에 걸 맞는 준비가 되지 않았다. 삼성전자의 경우 제품인 스마트폰은 최고로
잘 만들지만 그 안의 플랫폼인 안드로이드는 구글이 만든다. 그렇게 때문에 플랫폼 시대에 제조업 기반의 일하는 방식이 유지된다. 세상이 돌아가는 것과 기업
내부에서 돌아가는 것 사이의 차이가 커진다.
언론과 미래를 준비하는 업계에서는 '인공지능'을 외쳐도 대기업 안의 대부분의 직원들은 인공지능을
만져볼 기회가 없다. 빠른 시간안에 격차를 따라잡기 위해서 내부에서 연구하고 개발하지 않고 외부와 파트너를
맺거나 이미 완성된 것을 구매해서 적용하기 때문이다. 대기업의 특별한 부서만을 제외하고는 이런 경험을 할 기회는
없다.
지식의 고립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유 세미나에 참석한다. 하지만 세미나는 간접 경험일 뿐이다. 이런 생활이 2-3년 되면 기업의 정치적 구조에와 오래된 사람에게는 익숙해지지만 실력은 늘지 않는다. 한 직장에 오래 다닌 덕분에 기업의 자금으로 다양한 경험을 하는 대신 경험이 제한되어 경력이 망가진다. 그렇다면 이런 시대의 경력관리는 어떻게 해야할까?
(1) 속도의 경제 방식을 따라야 한다.
김난도 교수님의 트랜드코리아 2021에서는 과거 구글의 일하는 법이 다시 등장했다. 구글이나 아마존같은 세계적인 기업에게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기업과 구성원 모두에게 필요한 내용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일 것이다. 계획보다 실험을, 위험회피보다는 학습, 최적화보다는 혁신을 선택해야 한다. 기업은 변화가 느리다. 오랫동안 지켜왔던 일하는 방식은 오랜 시간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의사결정 방식은 사람들의 무의식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인들은 기업이 가는 속도와 맞추면 안된다. 그보다 빨라야 한다.
sicasoshin@gmail.com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11 한화드림플러스 3F